취재플러스

계엄 당일 삼청동 안가의 5분...검찰 고위직도 있었나

방첩사 "검찰·국정원에서 올 것" 지시...추미애 "불법계엄 개입 정황"

2024-12-15 23:47:56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계엄 당일 오후 7시경 삼청동 안가에서 이뤄진 비밀 회동의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이 단 5분간 안가에서 윤석열을 만나 A4용지 한 장 분량의 계엄 문건을 전달받았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전체 참석자의 윤곽은 여전히 베일에 가려있다.


위중한 순간 대통령이 청와대도, 용산 집무실도 아닌 삼청동 안가로 이동한 배경에는 도청 차단이라는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두환 정권 시절 만들어진 이 안가는 방탄벽과 방탄유리, 도청방지 시설을 갖추고 있다. 김병주 의원이 지난 9월 국정감사에서 "대통령실이 미군의 도청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어, 계엄 모의 과정에서 도청을 우회하려 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5분 회동의 미스터리...더 많은 참석자 있었나


현재까지 확인된 안가 회동 참석자는 윤석열과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등 4명이다. 하지만 단 5분간의 짧은 회동을 위해 대통령이 안가로 이동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계엄 당일 삼청동 안가 회동 참석자 : 윤석열, 김용현, 조지호, 김봉식
▲계엄 당일 삼청동 안가 회동 참석자 : 윤석열, 김용현, 조지호, 김봉식

특히 방첩사령관 여인형이 계엄 당일 "검찰과 국정원에서 올 것"이라며 예하 부대에 지시한 정황이 드러나 검찰 고위 간부의 안가 참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방첩사는 당시 군사보안실장과 사이버보안실장, 정보보호단장, 과학수사센터장 등 4개 팀장에게 "검찰과 국정원이 올 테니 잘 지원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여인형 방첩사령관, 검찰‧국정원 공조 지시

■ 발언 시기

12.3.(화) 계엄선포 전후 (23:00 전후추정)

■ 제보 내용

-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정성우 방첩사 1처장에게 지시하였고
- 이에 정성우 1처장이 방첩사령부 3층 보안실에서 출동하는 당시 4개 팀장과 실무중령 1~2명을 불러서 '선관위가 서버를 어떻게 복사해라' 등 주요 임무를 부여하면서, 검찰과 국정원을 언급함
- 정성우 1처장은 "검찰과 국정원에서 올거다. 중요한 임무는 검찰과 국정원에서 할 거니 그들을 지원하면 된다."고 지시하였다고 함

■ 추미애 진상조사단장 입장

"검찰과 국정원이 불법계엄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특히, 검찰총장은 윤석열에게 어떤 지시는 받았는지, 검찰 어느 조직이 파견되었는지, 어떤 역할을 준비했는지 조속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함

■ 방첩사 4개 팀장 현황

- 군사보안실장 (육군대령)
- 사이버보안실장 (공군대령)
- 정보보호단장 (육군대령)
- 과학수사센터장 (육군대령)

* 군, 수사기관 제보 등 추미애의원실 정리 (문의 : 784-1626)


12월 3일 선택의 이면...서울중앙지검장 탄핵 D-1


윤석열은 계엄 선포 당시 "판사를 겁박하고 다수의 검사를 탄핵하는 등 사법 업무를 마비시키고, 행안부 장관 탄핵, 방통위원장 탄핵, 감사원장 탄핵, 국방 장관 탄핵 시도 등으로 행정부마저 마비시키고 있다"며 계엄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계엄 선포 날짜가 서울중앙지검장 이창수의 탄핵 하루 전이었다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이창수 지검장은 2024년 5월 김건희 관련 수사라인을 전면 정리하고 자신의 측근들을 주요 보직에 앉히며 윤석열의 최측근으로 자리잡았다. 1, 2, 3, 4차장을 모두 교체하며 검찰 내 자신의 입지를 공고히 한 인물이다.


이창수 지검장과 차장검사들이 탄핵되는 상황은 윤석열에게 치명적이었다. 검찰 조직 내에서 자신의 의중을 가장 잘 대변하고 실행할 수 있는 수족을 잃는 셈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계엄 선포 시점이 이창수 탄핵 하루 전이었다는 점은 단순한 우연으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만약 계엄이 성공했다면 이창수 탄핵은 무산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검찰 수사의 이상한 행보...은폐 의혹 제기돼


현재 검찰은 특수본을 꾸려 내란 수사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정작 검찰 고위 간부들의 계엄 연루 여부는 전혀 수사하지 않고 있다. 방첩사가 계엄 당시 군 수사관 100명, 경찰 수사관 100명을 요청한 사실은 확인됐지만 검찰과 국정원에 대한 인력 요청 여부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더욱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자진 출석해 검찰 조사를 받던 중 돌연 자살을 시도하고 진술을 거부한 것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검찰과의 거래 시도나 압박이 있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추미애 의원은 "검찰이 계엄 모의에 가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대검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검찰이 자체 수사를 통해 진실을 밝힐 것이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삼청동 안가 회동의 전모를 밝히는 것은 이번 내란 수사의 핵심이다. 특히 검찰 고위 간부들의 연루 여부는 반드시 규명되어야 할 사안이다. 검찰 수사가 아닌 경찰 국수본이나 공수처 수사, 또는 특검을 통해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신뉴스

주요 태그

시민언론 뉴탐사 회원이 되어주세요.
여러분의 회비는 권력감시와 사법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취재 및 제작에 사용되며, 뉴탐사가 우리사회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으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
뉴탐사 회원가입
Image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