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보도로 공개된 '12·3 비상계엄' 계획의 주모자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에는 처음 10여 명이었던 제거 대상이 500여 명까지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 명단에는 "더탐사 일당"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극우 언론과 내란 세력이 정권 감시 언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다.

조직적 탄압의 실체
노상원의 수첩에는 "김명수 대법관 때 좌파 판사, 이성윤 등 좌파 검사, 김남국, 황운하, 조씨 일가, 문 일가 더탐사 일당"이라는 기록이 있다. "김두환(김두한 오기로 추정) 시대 주먹들을 이용하여 좌파놈들을 분쇄시키는 방안"이라는 수첩 내용은 더탐사에 대한 물리적 폭력까지 계획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인식은 현실에서 구체적인 탄압으로 이어졌다. 더탐사와 소속 언론인들은 총 18차례의 압수수색을 당했고, 강진구 기자의 경우 2차례나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이는 단순한 수사가 아닌 조직적 탄압이었음을 보여준다.
극우 언론의 '일당' 프레임
스카이데일리, 조선일보, 뉴데일리, 데일리안 등 보수 성향 매체들은 더탐사에 대한 탄압이 진행될 때마다 '더탐사 일당'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특히 한동훈 당시 법무부 장관 자택 취재 사건 때 이 표현의 사용은 절정에 달했다. 이들 매체는 취재 행위를 마치 조직폭력배의 행태처럼 묘사하며 '일당'이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극우 언론과 한 목소리를 낸 정천수
2022년 9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이어진 더탐사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정천수는 더탐사를 사유화했다. 그는 더탐사를 없애고 열린공감이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재편했으며, 친형과 측근들을 이사로 앉히고, 배우자와 아들을 자회사 이사로 임명하는 등 철저한 사유화를 진행했다.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정천수는 극우 매체들과 마찬가지로 "더탐사 일당"이라는 표현을 즐겨 사용하며 강진구 등 윤석열 정권을 비판하는 언론인들에 대해 조직적인 음해와 중상모략을 일삼았다.

주목할 점은 정천수가 자신을 '쥴리 게이트' 의혹 제기의 선봉에 있다고 자처했지만, 노상원의 수첩에는 열린공감이나 정천수의 이름이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내란 세력이 더탐사를 위험한 감시자로 인식한 반면, 정천수는 그들의 경계 대상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오히려 그는 내란 세력과 극우 매체가 사용한 것과 동일한 '일당'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더탐사 무력화에 일조했다.
'일당' 호칭이 의미하는 것
더탐사를 향한 '일당' 호칭은 단순한 비하나 폄훼가 아니다. 이는 내란 세력이 상정한 '제거 대상'과 동일한 맥락에서 사용된 것으로, 언론 탄압을 정당화하는 도구였다. 18차례의 압수수색과 두 차례의 구속영장 청구는 이러한 '일당' 프레임이 실제 탄압으로 이어진 증거다.
노상원 수첩에서 드러난 '더탐사 일당'이라는 표현이 2023년 10월 이전에 작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극우 매체들의 '일당' 프레임과 실제 언론 탄압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여기에 정천수의 언론사 사유화는 권력 감시 언론을 무력화하는 또 다른 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권력 감시 언론을 어떻게 제거하려 했는지, 그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증거다.
최신뉴스
여러분의 회비는 권력감시와 사법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취재 및 제작에 사용되며, 뉴탐사가 우리사회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으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뉴탐사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