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암행어사
오세훈, 연천군 상수원보호구역에 서울시 돈으로 삽질
562억 대규모 혈세 투입...26km 거리 동두천과 '판박이' 시설 논란 임진강변 상수원보호구역에 주민의견 무시한 일방적 행정 지적
서울시가 경기도 연천군에 562억원 규모의 반려동물 테마파크와 추모원 조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인근 동두천시와의 중복 투자와 부실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연천군 주민들의 반대 의견을 무시한 채 사업을 강행하면서 행정의 일방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 무리한 사업 추진
서울시는 지난해 1월 5일 연천군과 반려동물 테마파크 및 추모원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연천군 군남면 일대 12만㎡ 부지에 반려동물 테마파크를, 인근 부지에 추모원을 건립하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 사업이 증가하는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수요를 반영한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서울시 가구의 22.2%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으며, 연간 13만 4천 마리의 반려동물 사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당 부지는 서울 도심에서 자동차로 1시간 30분이 걸리는 원거리에 위치해 있다. 접근성이 떨어져 실제 이용률이 저조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동두천시와 중복 투자 논란
더 큰 문제는 직선거리로 26km 떨어진 동두천시에 이미 유사한 시설이 조성 중이라는 점이다. 동두천시는 경기도 북부권역 테마파크 사업의 일환으로 '반려마루'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동두천시 관계자는 "2022년부터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서울시의 연천 테마파크 계획과는 전혀 협의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두 시설은 캠핑장, 수영장, 문화센터, 놀이터, 추모관 등 거의 동일한 시설을 갖출 예정이다.
주민 의견 무시한 일방적 행정
연천군 추모원 예정 부지 인근에서 상황 버섯 농사를 짓고 있는 한 농민은 "4년 전부터 이곳에서 친환경 농사를 지어왔는데,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됐다"며 반발했다. 10억원 가량을 투자해 삶의 터전을 일군 이들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연천군 관계자는 "주민 설명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 해당 부지 주민들과는 어떠한 사전 협의도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오산시의 반려동물 테마파크는 이미 저조한 이용률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월 수입은 350만원에 그치는 반면, 위탁비용은 연간 7억원에 달한다. 울산 중구의 반려동물 전용공원도 같은 이유로 문을 닫은 상태다.
토지 용도 변경 의혹
강진구 기자는 이 사업이 토지 용도 변경을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임진강 인근 상수원보호구역인 이 부지가 테마파크 조성을 명분으로 용도 변경된 뒤, 다른 목적으로 전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연천군수와 동두천시장, 지역구 국회의원 모두가 같은 정당 소속이라는 점이다. 이들이 중복 투자의 문제점을 인지하고도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사업을 강행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특히 김성원 국회의원은 연천군을 '폐기물 처리시설 집적지'로 만들어온 전력이 있어, 이번 테마파크 사업의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강진구 기자는 "반려동물 인구 증가에 따른 시설 확충은 필요하지만,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충분한 사전 검토와 수요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지역 내 반려동물 양육 주민들의 실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적정 규모의 시설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신뉴스
여러분의 회비는 권력감시와 사법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취재 및 제작에 사용되며, 뉴탐사가 우리사회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으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뉴탐사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