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의 공천 작업이 마무리되어 가면서, 조중동, 종편, KBS, 한겨레경향 등 다양한 언론 매체들의 총선 보도 문제가 드러났다. 특히, MBC의 미세먼지 보도를 둘러싼 국민의힘과 선거방송심의위원회(선방위) 간의 논란이 표면화되었다. 국민의힘은 MBC의 보도가 선거 편파 방송이라며 선방위에 민원을 제기했고, 이에 대한 심의 절차가 예상보다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어, 언론의 보도 자유와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선거에 뛰어든 형국
선거방송심의위원회(선방위)가 최근 2개월 동안 무려 10건의 제재를 내리며 MBC에 집중적인 공격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선방위가 2008년 구성된 이후 15년간 단 2건의 법정 제재 징계만을 내렸던 것과 비교하면 천문학적으로 많은 수치다. 특히, MBC에 대한 아홉 건의 제재는 선방위가 선거의 공정성을 해치는 기관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선방위 내에는 과거 불공정 보도를 지도했던 인물들과 TV조선 출신 인물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의 공정한 판단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는 선거 관련 보도에 대한 심의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선거방송심의위원회(선방위)의 운영이 공정성을 잃고, 특정 매체를 대상으로 한 표적 징계를 내리고 있는 상황이다. 선방위 내에는 류희림 위원장과 여당 추천 위원들이 맹활약하고 있으며, 이는 작년 12월 출범 당시부터 우려된 바로, 실제로 반발을 샀던 구성원들의 문제적 행태가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선방위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MBC 미세먼지 예보에서 파란색 1자 표시 같은 전례 없는 사안을 심의하고 있는 상황은 선거와 관련된 심의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평화방송의 시사 프로그램에서 "이태원 참사에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발언이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편파적인 방송이라는 이유로 선방위에 의해 제재 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는 정부에 대한 책임 추궁을 시도하는 발언을 정치적으로 편향된 내용으로 해석하는 것이며, 이러한 접근은 표현의 자유와 공정한 비판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태원 참사 수습 과정에서의 책임 소재를 묻는 것이 정치적 편파로 해석되는 것이다.
정치 풍자마저 금기시되고 있어
SNL 코리아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치 풍자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최근 방송에서도 이러한 전통을 계속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을 모방한 분장과 연출로 풍자를 선보이며, 이는 SNL 코리아가 정치적 자유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과거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SNL 코리아에서 정치 풍자의 자유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던 것이 이번 풍자의 배경이 되었다.
이번 SNL 코리아의 방송은 풍자를 통해 현재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며, 사회적인 대화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자가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이미 민원을 이유로 선거방송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진행한 전례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SNL 코리아가 진행하는 풍자에 대해서도 유사한 심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독립성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시키며, 어떻게 이러한 풍자가 보호받고 계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TV 개그 프로그램에서의 정치 풍자가 점점 사라지는 상황에서, SNL 코리아 같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신선한 풍자는 시청자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과거 개그 콘서트 등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정치 풍자가 문재인 정부 시절 사라진 후, 유튜브와 같은 새로운 플랫폼에서 이러한 풍자의 불꽃이 다시 타오르고 있다. 정부의 통제가 강화될수록 풍자는 풍선 효과처럼 다른 곳으로 옮겨가며, 이제는 유튜브에서 개그맨과 기자들이 자신의 채널을 통해 비판과 평론을 이어가고 있다.
언론 노조가 주최하는 대통령 풍자 영상 공모전과 같은 이벤트는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다양성을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부의 언론에 대한 통제와 심의에 대한 반발로 볼 수 있으며, 풍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풍자는 사회와 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대중에게 사고의 자유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성근 통해 조국혁신당 흠집내기
문성근 배우가 자신의 SNS에 공유된 사진이 논란이 됐다. 문성근 배우의 SNS에서 공유된 김일성 사진은 본인이 직접 포스팅한 것이 아니라, 강민화라는 인물이 작성한 글과 사진을 공유한 것이었다. 이 공유된 사진은 문성근 배우가 직접 올린 것처럼 잘못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특히 헤럴드경제 기사에서는 해당 사진의 본래 맥락이 생략되어 보도되었다. 이는 문성근 배우가 조국혁신당 후원회장으로서 김일성 사진을 올린 것처럼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문성근 배우는 헤럴드경제가 사진 조작을 한 것이라며 항의하고 있다.
언론이 야당내 불화 조장
최근 총선 과정을 지켜보며, 일련의 공천 논란과 언론 보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선거는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지만, 현재의 언론 보도 방식은 선거에 대한 거부감을 증가시키고 투표율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축구경기 중계에 비유하자면, 현재의 언론은 축구팀 내 선수 간의 불화를 조장하는 방식으로 선거 보도를 하고 있다. 이는 선거의 본질적인 의미를 흐리며, 선거 과정을 정치적 게임의 하나로 전락시키는 경향이 있다. 언론은 선거 전략과 후보들의 자질 등에 초점을 맞추어 국민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지만, 현재는 개인적 이해관계와 정치적 편향성에 치우친 보도가 팽배하다.
민주당 집권기에는 정권 심판론, 국힘 집권때는 야당견제론
총선 과정에서 정권 심판론과 야당 견제론이 주요 프레임으로 부각되어 왔다. 4년 전 선거에서는 민주당 정부 시절, 조선일보를 비롯한 대부분의 언론이 정권심판론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의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하지만 선거 결과, 이러한 정권심판론이 오히려 야당에 역풍으로 작용하며,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경제 정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반영됨으로써 야당(미래통합당)의 패배로 이어졌다.
당시와 비교했을 때, 최근의 총선 과정에서는 정권심판론이 언론에서 크게 다뤄지지 않았으며, 공천 과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민주당이 정권심판론을 본격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언론의 보도는 과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2020년 총선때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현재의 언론 보도는 공천과 관련된 내용이나 야당의 내부 갈등 등에 초점을 맞추며, 정권심판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줄어든 형국이다.
언론 보도의 편향성과 친명, 비명 갈라치기
언론은 민주당에 대해서만 비명친명의 갈등을 부각시키며 정권심판론에 대한 보도는 소홀히 다루고 있다. 이는 언론이 정치적 중립성을 잃고 일부 정치 세력의 이익을 대변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야당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현 정권의 국정 운영에 대한 평가와 심판이다. 야당의 역할과 정부의 정책 실패에 대한 심판은 모두 중요한 선거의 주제이며, 언론은 이를 공정하게 다뤄야 한다.
친명과 비명의 혼란: 언론의 기준 문제
언론이 민주당 내의 계파 간 구분에 있어서 '친명'과 '비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특히 이개호 후보에 대한 보도에서 나타난 친명과 비명의 구분이 수일 내에 바뀌는 등의 혼란은 언론의 보도 기준에 대한 신뢰성을 훼손한다. 뉴시스의 경우, 나흘 만에 이개호 의원을 친명에서 비명으로 바꿔 보도하는 행태는 언론이 정치적 편향성 없이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실패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언론이 민주당 내 계파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친노', '반노', '친문', '반문' 등의 용어는 객관적 기준에 의한 것이 아닌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분류는 실제로 정치인들의 정치적 입장이나 실천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오히려 정치적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결과를 낳는다.
종합편성채널(종편)에서 행해지는 '아무말 대잔치'식의 방송은 취재와 분석에 기반하지 않은 채 주관적인 의견만을 전달한다. 이는 동네 술집에서의 가벼운 대화와 다를 바 없으며, 공중파를 통해 전파되는 정보로서는 부적절하다. 종편 방송의 패널들이 내놓는 기이한 주장과 방송에서 삼가야 할 용어를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예를 들어, 어떤 패널의 발언에서는 양이원영 의원이 친명인데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공천에서 탈락했다고 주장하는 등, 공천과 관련하여 사실과 다른 내용이나 근거 없는 정보를 바탕으로 한 발언들이 방송되었다.
국힘 후보 친일 발언과 색깔론
최근 국민의힘 일부 후보들의 친일 발언과 이에 대한 언론의 다양한 반응이 화제가 되고 있다. 성일종 의원의 이토 히로부미 옹호 발언, 조수연 후보의 일제강점기 긍정 발언, 장예찬 후보의 '난교' 관련 부적절한 발언 등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러한 망언들은 단순히 논란이 아닌 명백한 잘못된 발언으로, 이들을 후보로 내세운 공천 과정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언론은 종편과 지상파를 막론하고 이러한 사태에 대해 색깔론을 제기하며 정치적 프레임에 맞춰 보도하고 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그리고 KBS까지 색깔론을 주도적으로 다루며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공정해야 할 공영방송 KBS의 신뢰도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한겨레와 경향신문 같은 진보 언론마저도 특정 정치인에 대한 비판적 보도에 앞장서며, 정치적 프레임에 갇혀 객관성을 상실한 보도를 이어가고 있다.
한겨레·경향의 변화와 문제점
최근 시민언론 민들레에서 전지윤 편집위원이 쓴 칼럼에서는 한겨레와 경향신문의 보도 태도 변화에 대해 분석했다. 첫 번째로, 이들 언론이 과거 대안 언론의 위치에서 이제는 주류 미디어, 기득권 언론사의 일부가 되었다고 지적한다. 이로 인해 기존 대형 언론사들이 해왔던 선동적 프레임을 반박하기보다는 오히려 같은 방식을 따르고 있다고 본다. 두 번째 문제로는 기계적 중립이라는 객관의 신화에 사로잡혀 있는 점을 들며, 이는 실제로 저널리즘의 실패를 가져온다고 지적한다. 셋째로, 강자에게는 약하고 약자에게는 강한 이중적 태도가 존재한다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겨레와 경향이 단순한 기계적 중립을 넘어서 특정한 시각과 이해관계에 따라 편집되고 보도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이들 언론이 과거 자처했던 정의와 약자의 편에 서는 가치를 소홀히 하며, 실제로는 다른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겨레와 경향신문 내부에서 일부 고참급 기자들이 노무현, 이재명 등 특정 정치인들에 대해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이상한 선민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정치인을 낮추어보는 태도로 비춰지며, 특히 이들 정치인에 대한 비하의 문제로 나타난다. 이러한 선민의식은 학력에 대한 우월감과 연결되어, 높은 학력을 기준으로 타인을 평가하는 잘못된 태도를 반영한다. 언론인이라면 개인의 자존감이나 학력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태도는 자제해야 한다.
미디어 전문 언론, 정치적 프레임에 매몰된 보도로 비판 받아
미디어 전문 언론들이 정치적 프레임에 매몰된 보도로 인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미디어스는 더불어민주당의 가짜뉴스 대응 태스크포스(TF) 발족 소식을 전하면서, 제목과 내용 사이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드러냈다. 해당 기사는 실제로 민주당이 가짜 뉴스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TF를 설립했다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제목은 민주당의 공천 관련 보도가 가짜 뉴스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의 혼란을 야기했다. 이와 별도로, 미디어 전문 비평 매체인 미디어오늘의 분석에 따르면, 민주당과 국민의힘 관련 공천 뉴스의 보도 양과 내용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국민의힘 관련 기사들은 주로 단순한 공천 결과 전달에 초점을 맞춘 반면, 민주당 관련 기사들은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일본 우익 언론, 윤석열 정부 응원
일본의 대표적 우익 언론인 요미우리는 3・1절 직후인 지난 4일 사설을 통해 한국의 총선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윤석열 정부의 안정과 계속된 한일 협력을 바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해석과 분석은 민들레 기사 참고)
尹氏の支持率は、不支持が支持を上回っている。国民生活に直結する物価上昇や深刻な少子化に有効な手を打てていないことが影響していよう。4月の総選挙を巡っても、与党「国民の力」と、国会で最多の議席を持つ左派系最大野党「共に民主党」が支持率で 拮抗きっこう している。与党が敗北すれば、尹政権のレームダック化は避けられまい。일본 요미우리 신문 3월 4일자 사설 중
지난 2년간 윤 정부는 일본의 보수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양국 관계를 이끌어왔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며, 이러한 협력이 이번 선거를 통해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것이 요미우리를 비롯한 일본 언론의 주된 걱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시다 총리의 방한 계획이 선거 전략의 일환으로 제안되었다가 취소된 사례를 들며, 앞으로도 한일 관계 강화를 위한 구체적 제언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총선이 단순한 국내 정치의 장이 아니라, 한일 관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로 보고 있는 일본 우익 언론의 시각을 잘 보여준다.
한국 내에서 현재 진행 중인 선거가 제2의 한일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일본으로부터의 영향이 아니라 국내적인 요인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특히 국내 정치인들의 한일 친선을 강조하는 발언과 한일 관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지난 4년 전의 한일전과는 다르게, 국내 정치적인 동력과 한국 내의 친일, 종일, 숭일적인 흐름, 그리고 공천을 통해 드러나는 이슈들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세월호 10주기에서 다시 본 '기레기론'
세월호 10주기를 앞두고 KBS가 다큐멘터리 방송을 중단한 상황에서, 오세훈 씨알의소리 편집위원이 한국 언론의 부족한 자기 반성과 평가를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그는 '기레기론'이라는 제목의 기고글에서 기레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국의 저널리즘 현실을 비판하고, 언론계 내부에서 이에 대한 진지한 토론과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기레기 현상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언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