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대구 식수로 쓰이는 가창댐밑에 수천명 원혼이 떠돌고 있다

한국의 모스크바 대구가 보수의 성지로 바뀐 이유

2024-07-07 20:00:00

한국전쟁 초기 24만명 민간인 학살의 실상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부터 9월 사이, 전국적으로 약 24만 명의 민간인이 학살당했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 비극적 역사는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전쟁의 또 다른 참상을 보여준다. 당시 국군은 북한군에 밀려 낙동강 방어선까지 후퇴하는 상황이었고, 이 과정에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자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한 전쟁 피해를 넘어서는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학살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적이다.


학살의 주요 대상은 '국민보도연맹' 가입자들이었다. 1949년에 설립된 '보도연맹'은 표면적으로는 좌익 전향자들을 용서하고 포용한다는 취지였으나, 실제로는 이들을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었다. 전쟁이 발발하자 정부와 군은 이들을 '이적행위' 가능성이 있는 위험 인물로 간주하고 무차별적으로 처형했다. 그러나 보도연맹에 가입한 이들 대부분은 실제 좌익 활동과는 무관한 일반 시민들이었다. 많은 이들이 정부의 회유나 압박, 심지어는 식량 배급과 같은 혜택을 약속받고 가입한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이는 더욱 비극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보도연맹원 외에도 당시 형무소에 수감 중이던 재소자들 역시 무차별적인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1946년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대구 10월 항쟁, 제주 4.3 사건, 여순 사건 등으로 수감 중이던 재소자들이 재판 없이 즉결 처형되었다. 이는 적법한 절차도 없이 수감자들의 생명을 박탈한 명백한 불법 행위였다. 심지어 일부 지역에서는 형 집행 중이던 재소자들까지 끌어내 살해했다는 증언도 있어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짐작케 한다.


학살은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는 200명의 정치사상범이 처형되었고, 제주도에서는 374명이 '먹일 쌀이 없다'는 황당한 이유로 집단 처형되었다. 충남 당진, 경북 예천·영덕 등 전국 곳곳에서 유사한 양상의 학살이 벌어졌다. 특히 경북 대구의 경산 코발트 광산과 가창댐에서는 수천 명이 학살돼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 가창댐이 현재까지도 대구 시민들의 주요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과거의 비극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안타까운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대규모 학살의 배경에는 이승만 정부의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1950년 5월 30일 실시된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들이 다수를 차지하면서 이승만의 재선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이에 전쟁 발발을 기회로 삼아 정적 제거와 민중 통제를 꾀했다는 것이다. 이는 정권 유지를 위해 무고한 시민들의 생명을 희생시킨 극악무도한 행위로, 당시 정부의 반민주적이고 비인도적인 성격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 비극적 역사는 오랫동안 은폐되었다. 특히 1961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특수범죄 처벌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해 유족회 간부들을 처벌하는 등 진실 규명을 가로막았다. 그러나 2009년 진실화해위원회가 이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자 명예회복을 권고하면서 서서히 그 실상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거나 왜곡하려는 시도가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최신뉴스

주요 태그

시민언론 뉴탐사 회원이 되어주세요.
여러분의 회비는 권력감시와 사법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취재 및 제작에 사용되며, 뉴탐사가 우리사회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으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
뉴탐사 회원가입
Image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