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범죄정보기획관실, 지난해 3월 인지
“‘명태균 녹취록’ 검찰 제출 시기는 작년 4월”
검찰, 언론 첫 보도 9월 훨씬 이전부터 알아
‘윤석열 오른팔’ 김성훈, 창원지검장에 투입
‘명태균-김건희 게이트’ 덮으려는 수순이었나
김성훈 후임 지검장 정유미도 ‘윤석열바라기’

'명태균 게이트' 사건을 전담수사 해온 창원지검의 수사결과를 두고 부실수사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검찰이 김건희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최초 인지한 시점이 언론이 관련 의혹을 첫 보도한 지난해 9월이 아니라 지난해 3월이었고, 검찰의 명태균 녹취록 확보시점도 지난해 4월이라는 증언이 이 사건 중요 관계자 등으로부터 나왔다. 증언이 사실이라면, 검찰은 명태균 게이트 단서를 잡고도 언론보도가 나오기 전까지 6개월 이상 수사를 뭉개왔던 셈이 된다. '명태균 특검’ 여론이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검 범정, 지난해 3월 '명태균 게이트' 인지.... ‘명태균 녹취록’ 검찰 제출 시기는 지난해 4월
'권력감시 탐사보도그룹' <워치독>이 명태균 게이트 사건 관계자와 검찰 등 상대로 취재한 내용을 종합하면, '명태균 게이트' 공익제보자 강혜경씨는 지난해 3월 창원지검에서 첫 조사를 받았고, 지난해 4월 휴대폰을 임의제출 했다. 이 휴대폰에는 현재 언론에 공개된 명태균과 김건희 공천 개입 및 국정농단 의혹 등이 담긴 녹취록 등이 모두 담겨 있었고 강씨는 검찰에 자세한 설명과 함께 “모든 의혹을 제대로 수사해달라”고 했다고 한다.
강씨가 지난해 3월 창원지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것은 2023년 12월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가 김영선 국민의힘 의원의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을 조사해 검찰에 넘긴 데 따른 것이었다. 애초 강씨는 2023년 5월께 받은 선관위 조사 때부터 “김영선 의원이 국회의원 세비를 명태균 쪽에 절반 보낸 것은 명씨가 공천을 위해 애써준 대가이고, 김건희 등과도 관련돼있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다만, 선관위는 2023년 12월 김영선 의원 등에 대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만 검찰에 수사의뢰 했다.
지난해 4월 휴대폰과 각종 자료 등을 검찰에 임의제출한 강씨는 (명태균 게이트가 터진) 지난해 9월 이전 이미 네차례 검찰에 출석해 조사까지 받았다고 한다. 강씨가 검찰 수사관에게 ‘김영선과 명태균, 김건희 등과의 관계’를 자세하게 진술했지만 수사관이 좀처럼 믿으려 하지 않았고, 결국 강씨가 휴대폰 등을 제출해 주장을 입증하려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검찰은 공천 개입 의혹 등으로 수사를 확대하지 않고, 강씨의 휴대폰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을 입증할 수 있는 녹취록만 수사자료에 넣었다는 게 강씨 쪽의 설명이다.
이 증언이 사실이라면, 검찰은 최초 수사 때부터 김영선 의원의 단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이 아니라 김건희 공천 개입 의혹 등 사건이 수사의 본질이라는 점을 2023년 12월, 늦어도 지난해 3~4월부터 인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검찰은 언론보도로 이 사건이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전까지는 제대로 수사하지 않은 것이다. <워치독> 취재에 응한 한 검찰 관계자는 “지난해 3월 이미 대검 범죄정보관실에서 명태균 관련 의혹을 파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오른팔' 김성훈 창원지검장 투입은 '명태균 게이트' 덮으려?
검찰이 명태균 게이트 의혹을 접하고 수사를 뭉갠 것을 너머 적극적으로 은폐하려 애쓴 것처럼 해석되는 정황은 이미 공개된 명태균 녹취록에서도 확인된다. 민주당이 공개한 이른바 '충성맹세 사건’ 명태균 녹취록을 보면, 명태균씨는 회계담당자 강혜경씨에게 2023년 11월25일, 12월9일 통화 때 “창원에 지검장은 다 나때문에 왔는데 (중략) 경찰청장부터 해서 검찰부터 해서 김영선에 잡혀가 다 충성맹세 시킨 거 아냐. 내가 데리고 와서 김영선한테 ‘충성합니다’ 다 세번씩 외쳤어. 선관위 (사건이) 아무리 넘어와도 경찰이 다 없애버려. 내가 해줬어. 그거 한달도 안됐다”고 말했다.
해당 녹취록에 근거한 <워치독> 취재를 더 하면, 명태균씨는 처음에 “왜 쓸 데 없는 이야기를 선관위에 해서 일을 크게 만드냐”며 강씨를 크게 나무랐지만 “다 조처를 해서 별일 없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강씨는 이때 이미 명씨와 김영선 의원에 대한 신뢰가 무너져 있었고 그는 명씨에게 보고하지 않은 채 검찰에 출석해 휴대폰을 제출하고 김건희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자세하게 진술했다는 것이다.
이당시 창원지검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 김성훈 검사였다. 김 검사는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 때 추미애 법무장관에게 자신의 옆에 두게 해달라고 특별히 청탁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김 검사는 윤 대통령이 국정원 댓글 사건을 수사할 때부터 함께 하면서 신뢰관계가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찰 관계자는 “창원지검은 검사장들 사이에서 선호되는 곳이 아니다. 그곳에 특별히 윤 대통령의 핵심 오른팔이 지검장으로 갔다는 것은 무언가를 관리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영선 의원 관련 선관위 고발 사건을 경찰에 맡기지 않고 검찰이 직접 관리한 것도 이례적인 정황이다”고 설명했다.
2024년 5월 정유미 창원지검장이 새로 왔는데 정 지검장 역시 검찰 내부에서는 ‘윤석열 바라기’ 검사로 알려져 있다. 정 지검장은 김영선 의원 사건을 소속 검사 없이 수사관들만 있는 수사과 형사4부에 배당했고, 지난해 10월에서야 검사가 있는 형사부로 옮긴 것이 드러나 국회에서 질타를 받은 바 있다.
강혜경씨 등을 조력하고 있는 한 법조인은 <워치독>에 “검찰은 (선관위에서 사건이 넘어온) 2023년 12월 혹은 (강혜경씨가 휴대폰을 제출한) 2024년 4월께 이미 명태균과 김건희, 윤석열 관련 여러 의혹 등을 알고 있었는데 단순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으로 덮어온 듯 하다. 검찰이 지난해 9월말 강혜경이 보관하던 명태균 피씨를 압수수색 했지만 언론 보여주기용이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창원지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은 한 참고인도 <워치독>에 “검사가 '정말 명태균이 들려준 통화에서 김건희 윤석열 음성 들은 게 맞냐?'고 계속 떠보았다. 검찰은 포렌식 해서 증거 다 갖고 있었으면서 그런 질문을 한 게 이상하다”고 말했다.
창원지검은 이와 관련한 <워치독>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해 9월부터 근 6개월 간 대체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명태균 특검만이 초유의 국정 농단을 제대로 밝혀낼 유일한 열쇠다”라고 17일 입장을 내었다. 그러나 검찰이 6개월보다 훨씬 앞선 1년여 이상 김건희 명태균 관련 의혹을 자세히 알고 있었던 정황이 추가로 드러나면서 명태균 특검 여론은 더욱 높아질 듯 보인다.
최신뉴스
여러분의 회비는 권력감시와 사법정의, 그리고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위한 취재 및 제작에 사용되며, 뉴탐사가 우리사회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언론으로 성장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뉴탐사 회원가입